본문 바로가기
미술

황제 유스타니누스 시대의 미술과 건축 1.

by cmyphoto's 2025. 3. 19.

유스티니아누스 황제 시대의 미술은 비잔틴 미술의 전성기를 대표하며, 이 시기에 제작된 작품들은 기독교의 교리를 널리 알리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시기의 미술은 특히 모자이크 예술에서 두드러지며, 황제와 성인들의 이미지를 화려하게 표현했습니다.

 

AI로 복원 된유스티니아누스 대제(유스티니아누스 1세)

 

유스티니아누스 황제는 누구인가?
● 출생과 초기 생애: 유스티니아누스 1세는 482년경 마케도니아의 농민 가정에서 태어났다. 그는 군인 출신으로, 518년에 황제인 유스티니아누스 1세의 조언자로서 정치에 입문하게 된다.
  재위 기간: 유스티니아누스는 527년부터 565년까지 통치하였으며, 그의 통치 기간은 동로마 제국의 황금기였다..

주요 업적
법전 편찬: 유스티니아누스는 로마법을 집대성하여 '유스티니아누스 법전'을 편찬하였다. 이는 후에 유럽의 법체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1583년 인쇄된 유스티니아누스 법전. /위키피디아


군사적 정복: 그는 북아프리카, 이탈리아, 그리고 사산 왕조와의 전쟁에서 여러 차례 군사적 승리를 거두었다. 특히, 533-534년의 북아프리카 원정과 535-540년의 이탈리아 원정이 유명다. 

개인적 삶
테오도라 황후: 유스티니아누스는 테오도라와 결혼하였으며, 그녀는 그의 정치적 동반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테오도라는 사회 개혁과 여성의 권리 증진에 기여하였다.

 

유스티니아누스의 아내인 황후 테오도라



니카의 반란: 532년, 유스티니아누스는 니카의 반란을 진압하였고, 이는 그의 통치에 큰 도전이었다. 이 사건은 그의 권력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말년과 유산
말년: 유스티니아누스는 565년에 사망하였으며, 그의 통치 기간 동안의 업적은 동로마 제국의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법전은 현대 법체계의 기초가 되었다.

 

유스티니아누스 황제 시대의 미술 개요

비잔틴 미술: 유스티니아누스 황제(527-565) 시대는 비잔틴 미술의 첫 번째 전성기로, 기독교 미술의 발전과 함께 화려한 색채와 장식이 특징이다. 이 시기의 미술은 고대 로마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독특한 동방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주요 미술 양식
모자이크: 유스티니아누스 시대의 모자이크는 성경의 이야기를 시각적으로 전달하는 중요한 수단이었다. 특히, 황금빛 배경과 후광을 사용하여 성자들을 화려하게 묘사하는 것이 특징다.
성당 건축: 이 시기에는 성당 건축도 활발히 이루어졌으며, 대표적인 예로는 "산 비탈레 성당"이 있다. 이 성당은 비잔틴 건축의 전형적인 양식을 보여주고 있다.

 

 

산 비탈레 성당

산 비탈레 대성당 (Basilica of San Vitale)은 이탈리아 라벤나에 있는 후기 골동품 교회다. 6 세기 교회는 초기 비잔틴 예술과 건축의 중요한 생존 사례이며, 특히 모자이크는 비잔틴 미술에서 가장 많이 연구 된 작품 중 일부다.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 목록 등재된 라벤나의 8개 건축물 중 하나다. 그 기초 비문은 교회를 대성당으로 묘사하지만, 중앙에서 계획된 디자인은 대성당 형태의 전형이 아니다.  로마 카톨릭 교회 내에서 그것은 역사적, 교회적 중요성으로 인해 대성당이라는 명예로운 칭호을 가지고 있다.

 

교회의 본관은 팔각형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건물은 로마 비잔틴 요소가 결합되어 있다. 돔, 출입구 모양 및 계단식 탑은 로마 스타일의 전형이며, 다각형 apse, 수도, 좁은 벽돌 및 비행 부벽의 초기 예는 비잔틴 양식의 전형이다. 이 교회는 이스탄불 외곽에서 가장 크고 가장 잘 보존 된 표본인 풍부한 비잔틴 모자이크가 가장 유명하다.

 

San Vitale은 비잔틴 예술에서 매우 중요한데, 유스티니아누스1세 황제 시대의 유일한 주요 교회이기 때문에 거의 손상되지 않았다. 콘스탄티노플 "성 세르기오스 교회"와 "바초스 교회"와 마찬가지로 전체적인 디자인은 "이중 껍질 팔각형"이다. 

 

San Vitale (라벤나) - 돔 평면도



산 비탈레 성당

 

노회 위의 천장 모자이크

 

예수 그리스도 와  사도들 의 개선문 모자이크
돔 내부에는 18세기 후반의 바로크 양식의 프레스코화가 있습니다.

 

유스티니아누스와 아내 테오도라의 모자이크 패널

apse측벽 기슭에는 547 년에 완성 된 두 개의 유명한 모자이크 패널이 있다. 뷰어 왼쪽(apse에서 그리스도의 관점에서 볼 때 특권을 누리는 오른쪽)에는 동로마 제국 황제 유스티아누스1세가 황금 후광이 있는 티리안 보라색을 입고 궁정 관리,  벨리사리우스 장군과 나르세스 장군, 막시미안 주교, 팔라티나이 경비병 및 부제 옆에 서 있는 모자이크가 있다.

 

유스티니아누스 자신은 중앙에 서서 오른쪽에는 군인들, 왼쪽에는 성직자들과 함께 서서 유스티니아누스가 그의 제국의 교회와 국가 모두의 지도자임을 강조하고 있다. 나중에 막시미안 주교의 이름이 그의 머리 위에 삽입된 것은 모자이크가 547년에 수정되어 이전 주교의 표현을 막시미아누스의 표현으로 대체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모자이크의 금색배경은 아마도 유스티니아누스와 그의 측근이 교회 안에 있음을 보여준다. 유스티니아누스는 그의 중요성을 보여주기 위해 앞과 중간에 배치되며, 막시미아누스 주교는 그의 왼쪽에, 작은 개인은 그 뒤에 배치되어 있다. 이 배치는 모자이크에 존재하는 개인의 겹쳐진 발을 통해 볼 수 있다. 

 

San Vitale (라벤나) - 돔
유스티니아누스 황제와 그의 수행원
테오도라 황후와 수행원
San Vitale (라벤나) - 돔, 모자이크 희생 제사
산 비탈레의 내부

 

San Vitale (라벤나) - 돔 , 노회

 

유스티니아누스 황제의 영향

● 문화적 유산: 유스티니아누스 황제는 법전 정리와 같은 중요한 문화적 업적을 남겼으며, 이는 미술과 건축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통치 아래에서 비잔틴 미술은 기독교의 교리를 표현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자리 잡았다.
● 종교적 주제: 이 시기의 미술은 주로 종교적 주제를 다루었으며, 성상 숭배와 관련된 논쟁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미술의 발전은 계속되었다. 


※ 결론

유스티니아누스 황제는 동로마 제국의 역사에서 중요한 인물로, 그의 법적, 군사적, 문화적 업적은 오늘날까지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의 통치 아래에서 제국은 번영을 누렸으며, 이는 후세에 큰 유산으로 남아 있다. 
유스티니아누스 황제 시대의 미술은 비잔틴 미술의 기초를 다진 중요한 시기로, 모자이크와 성당 건축을 통해 기독교의 교리를 시각적으로 표현했다. 이 시기의 미술은 후에 서유럽 미술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오늘날에도 그 유산이 여전히 남아 있다. 비잔틴 미술의 화려함과 독창성은 이 시대의 문화적 성취를 잘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