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르조네는 16세기 베네치아 르네상스 양식의 창시자 또는 "자연의 제자"로 알려져 있습니다. 자연과 풍경을 독창적으로 묘사하는 데 중점을 두었으며, 빛과 색채를 이용해 그림에 이야기와 시적 감흥을 담았습니다. 또한 철학에도 조예가 깊어 그림 속에 다양한 암시를 심어 놓아 그의 예술은 당시 미술에 혁신을 가져왔으며, 특히 시적이고 암시적인 풍경화로 14세기 르네상스 미술사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였습니다.

조르조네 바르바렐리 (Giorgione Barbarelli)
출생일 : 1477년경
사망일 : 1510년
출생지 : 이탈리아, 카스텔프랑코(Veneto)
※ 1477년경, 베네치아 카스텔프랑코에서 태어난 조르조네는 어린 시절 조반니 벨리니의 공방에서 도제 수업을 받았다. 전하는 그림 수가 적고 기록이 전무한 만큼 그가 언제, 어떤 방식으로 누구에게 주문을 받아 그림을 그렸는지에 대해서도 알려진 바가 없다. 다만 1507년 베네치아 두칼레 궁 접견실 장식화를 그렸으며, 이듬해 독일인 교역소 폰다코 데이 테데스키 외벽에 프레스코화의 일부를 그렸다는 기록이 있다. 이 두 작품은 모두 소실된 상태이다.
조르조네의 작품이라고 전하는 것 중 확실한 것은 베네치아 귀족 마르칸토니오 미키엘이 작성한 베네치아 개인 박물관에 있던 것들로 〈폭풍우〉, 〈세 명의 철학자〉, 〈잠자는 비너스〉, 〈전원의 합주〉 등 약 5점에 불과하다.
이 중 〈세 명의 철학자〉는 세바스티아노 델 피옴보가, 〈잠자는 비너스〉는 티치아노가 완성했으며, 〈전원의 합주〉는 티치아노의 작품이거나 두 사람의 공동 작품이라는 등 견해가 분분하다.
조르조네의 작품을 특정할 수 없는 이유는 그가 화가로 활동한 1500년 전후부터 흑사병으로 요절한 1510년까지 극히 짧은 시간 동안 베네치아 회화에 위대한 변혁을 일으켰기 때문이다. 또한 티치아노, 팔마 베키오, 로렌초 로토 같은 동시대 화가들을 비롯해 후대의 화가들이 그의 그림을 수없이 모방했다.
조르조네의 예술적 배경
● 역사적 맥락
조르조네는 르네상스 시대의 화가로, 이 시기는 예술과 과학이 급격히 발전하던 시기였다. 그는 베네치아에서 활동하며, 그 지역의 독특한 문화와 자연을 작품에 반영하였다.
● 주요 기법
그의 작품은 색채의 사용과 빛의 효과를 강조하며, 자연 현상과 풍경을 사실적으로 묘사하는 데 뛰어난 능력을 보였다..
대표작
1. 잠자는 비너스
이 작품은 조르조네의 대표작 중 하나로, 풍경 한가운데에 누워 있는 비너스를 묘사하고 있다. 이 그림은 그의 독창적인 색채 사용과 구성이 돋보인다.
※ 비너스(Venus)라는 작품은 조르조네의 대표작 중 하나로, 순결하고 풍만한 모습의 비너스가 전원의 나무 아래 누워 있는 모습이다.
이 작품은 라파엘로(Raffaello)의 풍만한 여인상과 유사한 점이 있지만, 조르조네의 비너스는 신비로운 분위기를 더해 더욱 압도적인 인상을 준다. 이 그림은 현재 독일 드레스덴의 ‘옛 거장 회화갤러리(Gemäldegalerie Alte Meister)’에 있기 때문에 흔히 ‘드레스덴의 비너스’로 불린다.

● "조르조네의 ‘잠자는 비너스". 비너스와 언덕이 잘 화응(和應)한다.
더 흥미로운 것은 길게 누워 있는 비너스의 몸과 그 뒤의 언덕 그리고 들녘의 등고선이 이루는 어떤 조응상태다.
그녀는 바닥에 완전히 드러누운 게 아니라, 옆으로 비스듬히 기대 있다. 그렇게 뻗은 왼쪽 팔과 허벅지가 그리는 선은 그 뒤에 자리한 언덕이나 들녘의 선과 평형을 이룬다. 그리하여 비너스와 언덕이 어울리고, 사람과 풍경, 육체와 자연이 화응하는 것이다. 이 화응 속에서 육체의 에로틱한 요소는 휘발되면서 그 서정성이 두드러진다.
● 조르조네의 꿈은 무엇이었을까?
그는 1478년께 베네토에서 태어났다.
그는 벨리니(G. Bellini) 화실에서 그림을 배웠다. 그러다가 고향으로 돌아가 교회와 예배당의 그림을 그렸다. 그는 무엇보다 색채의 마법에 골몰했던 것 같다. 빛과 원근법을 제대로 드러내는 것은 색채의 미묘한 음영(陰影)을 얼마나 능란하게 다룰 수 있는가에 달렸기 때문이다.
조르조네는 1510년 베네치아를 휩쓴 전염병에 걸려 세상을 떠났다.
작품으로는 12개 정도 거론되지만, 확실한 것은 6개밖에 없다. 그 작품의 의미는 출생성분만큼이나 수수께끼에 차 있다.
조르조네의 꿈은 "스며듦의 꿈"이라고 말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그것은 대상에 스며들어 그와 하나가 되고자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자신을 더 넓고 더 깊게 만들고자 한다. 하나의 대상은 비너스의 몸이 풍경의 일부로 스며들듯이, 다른 대상 속으로 들어가 그 일부가 되어 살아간다.
※ ‘잠자는 비너스’에는 무엇보다 ‘벌거벗은 여인’이 있다. 여성이 벗은 몸으로 묘사되는 경우는 그 당시까지의 서구 회화사를 통틀어 없었던 일이었다. 적어도 이런 자세와 구도 속에서 이 정도 크기(108X175cm)로 그린 것은 1500년 무렵까지 매우 혁신적인 일이었다. 벌거벗은 여인을 야외 풍경의 한가운데 놓은 경우는 더더욱 그러했다.

2. 유럽 회화사에서 첫 풍경화로 평가받는 "폭풍우"
● 장대는 지팡이인가, 창인가?
그림 중앙으로는 강이 흐르고, 이 강의 한 지류가 개울이 되어 화면 앞쪽까지 흘러든다.
개울 오른쪽에는 한 여인이 아기에게 젖을 먹이며 앉아 있고, 왼편에는 한 남자가, 장대를 든 채, 이 여인을 바라보며 서 있다. 제작 당시 이 그림은 ‘집시여인과 군인’으로 불리곤 했다. 그렇다면 창이 될 것이다. 하지만 그는 목동일 수도 있다. 남자 뒤편으로는 무너진 기둥의 잔해가 보이고, 중앙으로 흐르는 강 위에는 다리가 놓여 있다. 이 다리 너머로는 제법 웅장한 저택도 있다. 하늘에는 먹구름이 일렁이고, 이 먹구름 사이로 번개가 번쩍인다.
● 젖 먹이는 여인과 목동, 폐허의 마을과 폭풍의 흐린 날씨, 어떤 해석이 설득력 있을까?
여러 가지 암시를 지닌 상징물들이 있다. 하지만 어떤 해석에도 분명한 것은 없다. 그래서 누구는 신화의 이런저런 삽화를 읽어 내기도 하고, 누구는 고대 전원소설의 장면을 말하기도 한다.
또 누구는, 성경에 나오듯이, ‘이집트로의 피신’이나, 카인을 안은 이브와 아담을 언급하기도 한다. 그렇다면 사막도시는 낙원을 뜻할 것이고, 천둥번개는 두 사람을 에덴에서 추방한 신을 암시할 것이다.
X레이 검사에 의하면, 원래 조르조네는 이 남자가 서 있는 자리에 여자 누드를 그렸다고 한다. 그러니 남자와 여자, 도시와 농촌의 이분법은 이 그림에 대한 여러 해석적 가능성에서 제외해도 좋을 것이다.
※ 조르조네(Giorgione Barbarelli) 그 자신에 대해 알려진 것은 없지만, 그를 가장 잘 보여 주는 것은 말할 것도 없이 그의 작품들이다. 그의 풍경화는 어느 것이나 부드럽고 평온하여 정감이 넘친다. 그는 아마 누구보다 자연을 사랑했고, 스스로 다정다감한 연인이었으며, 철학을 사랑하고 삶의 전원시적 상태를 희구한 예술가였을 것이다.
조르조네 바르바렐리(Giorgione Barbarelli)가 실제로 피렌체인문주의와 신플라톤주의에 경도되어 있었을 것이라는 지적도 있지만, 아마도 인문주의적 소양 없이는 이처럼 뉘앙스 풍부한 풍경의 서정성을 그려 내지는 못했을 것이다. 그렇게 보면 "폭풍우"의 목동은 화가 자신인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목동이 바라보는 여인은 그가 사랑했던 사람이 아니었을까?
3. 조르조네 바르바렐리(Giorgione Barbarelli)의 "세 철학자"
조르조네적 분위기는 ‘세 철학자’라는 그림에서도 느낄 수 있다. 이 그림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뉘어 있다. 왼편에는 큰 동굴이 시커멓게 있고, 오른편에는 나무숲이 서 있다. 그림 중앙에는 두세 그루 나무가 서 있고, 이들 옆으로 들녘 풍경이 펼쳐진다. 이 들녘에는 마을이 있고, 그 너머에는 구릉과 산이 겹겹이 놓여 있다.
세 철학자는 오른편 숲가에 자리한다. 그 가운데 청년 하나가 앉아 있다. 그는 동굴을 바라보며 컴퍼스로 뭔가를 측정하는 듯이 보인다. 중앙에 선 사람은 중년의 남자로 보이고, 오른편 구석에 선 이는 노년의 남자다. 그는 아마도 그리스 철학자일 것이고, 중년의 남자는 머리에 둘러쓴 터번으로 보아 아랍의 철학자일 것이다.

서 있는 두 사람의 모습은, 이른바 ‘사크라 콘베르사치오네(sacra con-versazione)’에서처럼, "성스런 대화"를 나누는 것처럼 보인다.
사크라 콘베르사치오네라는 말은 흔히 성자들 사이에 자리한 마리아와 그 아이를 묘사한 그림을 일컫는 용어이지만, 이 장르가 생겨난 것에도 성스런 면이 있다. 이탈리아 르네상스 때 발전한 이 장르는 그 이전의 엄격하고 위계화된 구성과는 대립되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성스런 대화’의 그림에서 인물들은 서로 대화하며 상호작용하는 듯한 친숙한 분위기를 보여 준다. ‘세 철학자’에서 오른편 두 사람이 나누는 대화도, 그것이 진리를 향해 있는 것이니만큼, 성스럽고 고귀한 것이지 않을 수 없다.
● 진리추구의 모든 노력은 그 자체로 성스럽다.
이 장면은 플라톤의 ‘국가론’에 나오는 ‘동굴의 비유’와 관련하여 얘기되기도 하고, 예수 탄생을 축하하러 온 세 동방박사로 해석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런 해석은 20세기에 와서 반박됐다. 대신 서구 지식의 전수경로로 말하자면 고대 그리스의 고전이 서유럽에 곧바로 전수된 것이 아니라, 8~9세기 아랍의 광범위하고도 체계적인 번역을 통해 수용됐고, 이것이 12세기부터 유럽 지식인에 의해 재번역되면서 15세기에 이르러 르네상스가 일어난 과정을 묘사한 것으로 얘기된다.
● 세 철학자는 서구 문명의 세 시기인 고대와 중세 그리고 르네상스를 상징한다.
놀라운 것은 이 그림을 구성하는 요소들이, 그것이 사람이든 나무든, 잎사귀든, 돌이든, 살갗이든, 옷감이든, 손에 만져질 듯이 뚜렷한 형태를 지니고 있다는 사실이다. 그러면서도 부드럽고 온화하다.
조르조네는 사물의 경계를 최대한으로 지우고자 했다. 이때 사물의 질서는 훼손되는 것이 아니라 보존된다. 이렇게 보존되는 질서는 서로 밀치거나 밀어내는 것이 아니라 받아들이고 껴안기 때문이다.
조르조네의 그림을 이루는 모든 요소들로 부터 어떤 ‘가라앉는 뉘앙스’를 느끼게 된다.
이러한 뉘앙스는 색채적으로 보색효과 때문일 것이고, 감정적으로는 ‘절제’의 표현일 것이다.
그것이 사랑의 질서라면, 그 사랑은 아마도 오래가는 사랑일 것이다.
조르조네의 전원시적 회화는 오래가는 사랑을 담고 있다.
※ 조르조네가 활동했던 1510년 무렵 베네치아는 매우 혼란스러웠다. 이 도시국가는 이런저런 전쟁과 수시로 일어나는 화재 그리고 전염병으로 상당히 파괴돼 있었다. 그러면서도 "르네상스적 이상"이라는 거대한 움직임도 일어나고 있었다.
이러한 전환은 중세예술의 종교적 상징세계로부터 좀 더 생생하고 경험적이며 사실적인 세계로의 변화였다. 이런 변화의 끝에 저 놀라운 "휴머니즘" 이념이 자리한다. 조르조네는 바로 이 새로운 세대의 대표주자였다.
4. 조르조네 바르바렐리(Giorgione Barbarelli) 의 초기작으로 인정되는 작품들








결론
조르조네는 르네상스 시대의 중요한 화가로, 그의 작품에서 배경 풍경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독창적인 방식으로 풍경을 다루었습니다. 그는 종교화나 신화적 주제를 다룰 때도 풍경을 주체적으로 표현하여, 당시에는 드물었던 독립적인 풍경화를 개척했습니다. 그의 작품에서 스푸마토 기법을 사용하여 부드럽고 몽환적인 분위기를 연출하며, 색채의 조화와 함께 시적인 요소를 통합했습니다.
조르조네의 예술은 결핍을 초월하려는 움직임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이는 사랑과 화해의 가능성을 탐구하는 과정로 볼 수 있습니다. 그의 작품은 현실의 고통과 결핍을 직시하면서도, 그 너머의 이상적인 세계를 꿈꾸는 시적 비전을 담고 있습니다.
그의 유산은 자유와 독립의 감각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시와 음악, 철학을 통합한 독특한 예술적 접근을 보여줍니다. 조르조네의 그림을 감상하는 것은 그의 시적 정신을 경험하고, 새로운 현실을 탐구하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조르조네주의는 여전히 현대에도 살아 숨 쉬며, 관람자에게 깊은 감동과 사유를 제공합니다.